성서학 / 책들 공포의 텍스트 : 성서에 나타난 여성의 희생 ۰ 필리스 트리블 지음 ‘공포의 텍스트’는 이제 영미 성서학계에서 관용어가 되었다. 문학비평의 방법과 페미니즘 해석학을 결합하여 들려주는 하갈, 다말, 이름 없는 첩, 입다의 딸 이야기는 인간의 잔악함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침묵, 부재, 심지어 적대를 보여 준다. 이 면밀한 성서 읽기는 당황스러운 신앙 현실을 드러낸다. Comments Off on 공포의 텍스트 2022.01.06.
신학 / 책들 욕망, 기도, 비움 : 새라 코클리의 생애와 신학 ۰ 고형상 지음 새라 코클리는 그녀의 사상을 다룬 국제학술대회가 열리고 『새라 코클리와 조직신학의 미래』라는 책이 출간될 정도로 세계 신학의 흐름을 선도하는 신학자다. 이 책은 먼저 코클리의 생애를 간략히 다루고, 교부에서 현대사상에 이르는 그녀의 폭넓은 사상을 주제별로 소개한다. Comments Off on 욕망, 기도, 비움 2021.10.08.
신학 / 책들 그리스도교의 신 : 역사적 개관 ۰ 폴 E. 카페츠 지음 서구인들의 신 이해는 그들의 문학, 역사, 철학, 문화에 깊이 스며 있다. 따라서 서구 문명과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신과 종교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책은 그리스도교의 (단일하지 않은) 다양한 ‘신론’이 어떤 역사적 맥락에서 발생했으며,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개관한다. Comments Off on 그리스도교의 신 2021.08.22.
신학 교리의 본성 ۰ 조지 A. 린드벡 지음 이 책은 1900년대 후반에 출간된 책 중 신학계에 가장 많은 반응을 불러온 작품 중 하나로, 지금은 신학과 교리의 본성에 관한 광범위하고도 깊은 통찰을 제공해 주는 고전으로 자리 잡았다. 그뿐 아니라 교회 일치 운동, 종교 신학, 다원주의에 관한 논의 등에서도 필독서로 분류되고 있다. Comments Off on 교리의 본성 2021.07.12.
신학 다시 읽는 아우구스티누스 : 유한자의 조건과 무한자의 부르심 ۰ 로완 윌리엄스 지음 이 책은 아우구스티누스에 대한 포괄적이면서도 면밀한 독해를 통해, 그의 사상의 깊이와 넓이를 보여 준다. 특히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 대한 통속적인 이해를 수정하고, 더불어 그에 대한 현대의 비판을 검토하며 최근의 연구를 소개한다. Comments Off on 다시 읽는 아우구스티누스 2021.01.15.
책들 / 철학 윤리와 무한 : 필립 네모와의 대화 ۰ 에마뉘엘 레비나스 지음 이 책은 프랑스 에마뉘엘 레비나스와 필립 네모가 나눈 대담이다. 네모가 레비나스 철학의 주요 주제를 묻고, 레비나스가 간략하게 풀어 설명한다. 레비나스는 서양철학 전체를 비판하며 윤리학을 제일철학으로 제시하는 철학자인데, 그런 사유를 하기까지 삶의 여정과 사상 전체를 대담 형식으로 조망한다. Comments Off on 윤리와 무한 2020.11.27.
신학 / 책들 교리의 종말 ۰ 크리스틴 헬머 지음 이 책은 조지 A. 린드벡이 쓴 『교리의 본성』 이후의 교리의 본성을 다룬다. 즉 ‘교리는 어떤 성격을 지니는가?’라는 물음에 답하면서, 교리의 초역사성과 역사성 모두를 포기하지 않는(시대에 순응하지도, 시대를 무시하지도 않는), 다른 학문 분야와도 대화가 가능한 교리 이해로 나아가고자 하는 시도이다. Comments Off on 교리의 종말 2020.11.05.
신학 / 철학 우리 시대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 : 철학과 신학의 경계에서 ۰ 김동규, 김승환, 김진혁, 손민석, 윤동민, 최경환 지음 이 책은 최근 세계적으로 논의되고 있으나, 우리말로는 아직 본격적으로 소개되지 않은 몇몇 그리스도교 사상가들의 주요 사상을 정리하여 소개한다. 이들은 신학과 철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신앙과 교회와 세상에 대한 고유의 깊은 사유를 전개했고, 대부분 아직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Comments Off on 우리 시대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 2020.03.04.
신학 / 철학 공공신학으로 가는 길 : 공공신학과 현대 정치철학의 대화 ۰ 최경환 지음 이 책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공공신학을 정치철학과 연계하여 소개한다. 지구 곳곳의 공공신학 논의들을 전반적으로 조망하고, 이에 기대어 공공성을 되짚어본다. 독자들은 공적 영역에서 기독교의 사명이 무엇인지와 그 사명을 수행하기 위한 방식을 더욱 심도 있게 모색해볼 수 있을 것이다. Comments Off on 공공신학으로 가는 길 2019.10.14.
신학 하룻밤에 정리하는 신학의 역사 ۰ 로저 E. 올슨, 애덤 C. 잉글리쉬 지음 이 책은 그리스도교 2000년 신학의 역사의 큰 줄기를 하룻밤에 읽을 수 있는 분량에 담고 있다. 그러나 단순 요약하지 않고, 어떤 신학이 왜 등장하게 되었고 어떻게 중요하게 부각되었는지를 살핀다. 각 신학 사상을 단순히 정답/오답의 틀로 보지 않고, 각 사상을 주장한 이들의 입장에 서서 이해한다. Comments Off on 하룻밤에 정리하는 신학의 역사 2019.06.25.